전후 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후 섬은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전제 태공의 뒤를 이어 제나라를 통치했다. 그는 기원전 386년 주 안왕으로부터 제나라 군주로 공식 인정받았으며, 2년 후 사망했다. 전후 섬의 통치는 사료 부족으로 인해 《사기》에 기록되지 않았으나, 《죽서기년》과 《사기색은》을 통해 존재가 확인된다. 그의 능묘는 쯔보 시 린쯔 구 딩주 산에 위치하며, 전제 환공과 함께 2008년부터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포함되었다. 그는 막내 아들 희공자 희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73년 사망 - 송 휴공
- 살해된 기원전 4세기 군주 - 필리포스 2세
필리포스 2세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왕으로, 군사적 재능과 외교적 수완으로 마케도니아를 그리스 최강의 국가로 만들고 그리스 대부분을 정복하여 패권을 장악했으며, 군사 개혁과 정복 활동, 코린토스 동맹 결성으로 그리스 패권을 확립하고 페르시아 원정을 계획했으나 암살당했다. - 살해된 기원전 4세기 군주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전국 시대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전국 시대의 군주 - 제 선왕
제 선왕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소진과 맹자를 등용하여 국정을 자문하고 정치 이론에 대한 조언을 구했으며, 한나라를 구원하고 위나라를 격파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지고 직하를 번성시켰다.
전후 섬 |
---|
2. 재위
죽서기년에 따르면, 제 강공 22년(기원전 383년)에 즉위했으며, 10년 후 전오(후의 제 환공)에게 아들 유자 희(孺子 喜)와 함께 살해당했다.[5]
《죽서기년》에 따르면, 제 강공 22년(기원전 383년)에 즉위했으며, 10년 후에 전오(후의 제 환공)에게 아들 유자 희(孺子 喜)와 함께 살해당했다.[5]
옌의 능묘는 쯔보 시 린쯔 구의 링치 타운 근처 딩주 산에 있으며, 고대 치나라의 수도였던 린쯔와 가깝다. 같은 플랫폼 위에 2개의 언덕 모양의 무덤이 있다. 이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190m, 동쪽에서 서쪽으로 320m, 높이 30m이다.[3][4] 이 지역은 2,000년 동안 제 환공과 제 경공의 무덤으로 여겨져 왔으나, 고고학자들은 이들이 옌과 그의 형제이자 살해자인 전제 환공의 무덤이라고 결론 내렸다.[3]
《죽서기년》에 따르면, 제 강공 22년(기원전 383년)에 즉위했으며, 10년 후에 전오(후의 제 환공)에게 아들 유자 희(孺子 喜)와 함께 살해당했다.[5]
[1]
서적
Shiji ''(史记)''
Zhonghua Book Company
사마정(司馬貞)은 《사기색은》(史記索隱)에서 《장자》 거협편과 《귀곡자》에서 “전성자가 제나라 임금을 죽인 후부터 제나라에는 열두 대가 있었다”라고 한 것을 인용하여 전 도자와 전후 섬의 존재를 긍정했다. 《사기》에 따르면, 전성자부터 전건까지 10대에 불과하고, 전도자와 전후 섬을 합해야 12대가 되기 때문이다.[6]
얀의 아버지 전제 태공은 전씨 가문 출신의 첫 번째 제나라 군주였다. 전씨 가문의 지도자들은 기원전 481년부터 사실상 제나라를 통치했지만, 기원전 386년에야 태공이 주 안왕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나라의 군주로 인정받았다. 태공은 왕위에 올라 강공을 해변 도시로 추방했다. 태공은 2년 후 사망했고 얀이 뒤를 이었다. 강공은 기원전 379년에 사망했다.[1]
기원전 378년 한, 조, 위가 제나라를 침략하여 령구(현재의 산둥성 고당현)를 공격했다. 기원전 375년 얀은 그의 동생 전우에게 살해되었고, 전우는 왕위를 찬탈하여 전제 환공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얀의 아들 전희 또한 살해되었다.[1][2]
3. 사료
사마정(司馬貞)은 《사기색은》(史記索隱)에서 《장자》 거협편과 《귀곡자》에서 “전성자가 제나라 임금을 죽인 후부터 제나라에는 열두 대가 있었다”라고 한 것을 인용하여 전 도자와 전후 섬의 존재를 긍정했다. 《사기》에 따르면, 전성자부터 전건까지 10대에 불과하고, 전도자와 전후 섬을 합해야 12대가 되기 때문이다.[6]
전국 시대에는 신뢰할 만한 기록이 부족했기 때문에, 사마천의 영향력 있는 저서인 《사기》의 전씨에 관한 장은 신뢰할 수 없고 오류가 많다. 전후 섬의 치세는 《사기》에서 완전히 생략되었고, 그는 진나라 시대인 281년에 《죽서기년》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
4. 능묘
현재 알려진 전제의 통치자 7명의 능묘는 모두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보호받고 있다.[3] 2008년부터 이들은 고대 치나라 수도와 능묘 단지의 일부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포함되었다.[4]
5. 가계
사마정(司馬貞)은 《사기색은》(史記索隱)에서 《장자》 거협편과 《귀곡자》에서 “전성자가 제나라 임금을 죽인 후부터 제나라에는 열두 대가 있었다”라고 한 것을 인용하여 전 도자와 전후 섬의 존재를 긍정했다. 《사기》에 따르면, 전성자부터 전건까지 10대에 불과하고, 전도자와 전후 섬을 합해야 12대가 되기 때문이다.[6]
자녀로는 막내 아들 희공자 희(公子喜, ? ~ 기원전 375년)가 있었다.
참조
[2]
문서
Annals of Wei
Bamboo Annals
[3]
웹사이트
Tian Qi mausoleums: typical examples of Warring States mausoleums
http://www.qidu.net/[...]
Qidu.net
2009-01-11
[4]
웹사이트
Site of the Qi State Capital and the Mausoleum of King of the Qi State at Linzi
https://whc.unesco.o[...]
UNESCO
2012-06-01
[5]
위키문헌
《고본죽서기년》 위기
:zh:古本竹書紀年/魏紀
[6]
문서
사마정, 《사기색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